
직업환경연구방법론 I
YPUBs
Enrollment in this course is by invitation only
강의 개요
본 강의는 직업환경역학을 이해하고, 연구 방법론을 습득하여 실무 및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 직업병 및 환경 유해 요인과 건강 영향의 연관성을 평가하는 다양한 역학적 방법론을 학습하며, 특히 시계열 분석, 용량-반응 관계 분석,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, 혼합모형(Mixed Model) 등을 활용한 실습을 진행합니다. 이를 통해 학생들은 실제 직업병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게 됩니다.
학습 목표
- 직업환경역학의 기본 개념과 연구 설계 이해
- 관찰연구의 한계와 의미 파악
- 직업환경 독성과 노출 평가 방법 습득
- 체계적 문헌 고찰 및 메타 분석을 활용한 근거 기반 연구 수행
- 시계열 분석 및 용량-반응 관계 분석 기법을 이해하고 실습
- 메가효과 및 혼합모형을 활용한 고급 직업병 연구 수행 능력 함양
- 연구 결과의 해석 및 실제 적용 방법 학습
강의 일정
강의 특징
- 실습 중심의 학습: 연구 방법론을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, R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실습을 통해 실제 연구 수행 능력을 키웁니다.
- 직업병 연구 적용: 이론 학습뿐만 아니라 직업병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통계적 접근법을 다루어 연구 결과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.
- 최신 연구 방법론 반영: 체계적 문헌고찰, 메타 분석, 혼합모형 등 최신 연구 방법을 다루며, 직업환경 역학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법을 학습합니다.
- 실제 사례 분석: 직업병 및 환경 건강 연구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 능력을 강화합니다.
수강 대상
- 직업환경의학, 역학, 공중보건, 산업보건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원생 및 연구자
- 직업병 연구 및 예방에 관심 있는 보건 전문가
- 직업병 역학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는 연구기관 및 기업 연구자
본 강의를 통해 학생들은 직업병 연구에서 필수적인 연구 방법을 이해하고, 실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것입니다.